
쑤저우현대미술관(Suzhou MoCA)은 비야르케 잉엘스 그룹(BIG – Bjarke Ingels Group)이 설계한 프로젝트로, ‘물질주의(Materialism)’ 전시를 앞두고 곧 대중에게 문을 연다. 총면적 60,000㎡ 규모의 미술관은 리본처럼 흐르는 지붕 아래 12개의 파빌리온이 모인 ‘정원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 세기 동안 쑤저우의 도시와 건축, 조경을 규정해온 정원 문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한다.
이 미술관은 쑤저우하모니개발그룹(Suzhou Harmony Development Group)이 의뢰하고, BIG이 아츠그룹(ARTS Group) 및 프런트(Front Inc.)와 협력해 설계했다. 쑤저우 진지호(Jinji Lake) 수변에 위치하며, 중국의 새로운 현대미술·디자인·공공문화의 중심지로 2026년 공식 개관할 예정이다.
미술관의 건축은 쑤저우 전통 정원의 핵심 요소인 ‘랑廊(회랑)’에서 출발했다. 10개의 파빌리온이 하나의 지붕 아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지붕의 완만한 곡선은 기와 처마의 실루엣을 연상시킨다. 나머지 두 개의 파빌리온은 진지호 위에 지어져 회랑형 다리로 본관과 연결될 예정이다.
외벽은 곡면 유리와 따뜻한 톤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마감되어 하늘과 물, 정원의 풍경을 비추며 건축과 자연의 경계를 희미하게 만든다. 파빌리온들은 지상과 지하의 다리, 터널로 이어져 계절과 전시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동선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다. 내부와 외부 공간은 정원과 중정이 교차하며, 방문자는 예술·역사·자연·물이 어우러진 순환적 여정을 경험한다.
입구에는 넓은 광장이 펼쳐지고, 관람객은 중앙 방문자센터를 거쳐 실내로 들어가거나, 진지호 쪽으로 이어지는 산책로를 따라 외부 정원을 거닐 수 있다. 내부로 들어서면 천창과 채광창을 통해 들어오는 자연광이 전시실 곳곳에 그림자와 반사를 만들어내며, 전시 공간에 생동감을 더한다.
12개의 파빌리온 중 네 곳은 주요 갤러리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다목적홀, 극장, 레스토랑, 입구 공간 등으로 사용된다. 하나의 연속된 길이 관람객을 전체 미술관으로 안내하며, 중간마다 가지처럼 뻗은 소규모 동선이 갤러리 사이를 자연스럽게 이어준다.
조경 또한 진지호의 수변을 따라 펼쳐지며, 단단한 포장 광장에서 녹지로, 그리고 수생 식물 정원으로 이어지는 점진적인 공간 전환을 통해 ‘박물관–대지–호수’로 이어지는 흐름을 표현한다.
미술관은 중국 GBEL 2-Star 친환경 건축 인증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수동 차양, 자연 환기, 지역 재료를 적극 활용해 지속 가능한 문화적 랜드마크로 자리 잡는다.
개관 전 선보일 ‘물질주의(Materialism)’ 전시는 잉엘스가 편집장으로 참여했던 Domus 매거진의 기획을 확장한 전시로, 석재·흙·콘크리트·금속·유리·목재·직물·플라스틱·식물·재활용 소재 등 열 가지 재료가 BIG의 건축에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탐구한다.
전시장에는 코펜하겐 본사, 덴마크 해양박물관, 구글 베이뷰 캠퍼스, 더 플러스(The Plus) 등 20여 개 프로젝트의 실물 모형과 대형 샘플이 전시되며, 관람객은 재료의 질감과 형태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각 구역의 좌석과 표지판은 해당 소재로 제작되어, ‘재료로 앉고, 재료를 읽는’ 감각적 여정을 완성한다.
쑤저우현대미술관은 노르웨이 키스테포스 조각공원의 더 트위스트(The Twist), 스위스 오데마 피게 박물관, 덴마크 레고 뮤지엄 등 BIG의 문화 프로젝트 계보를 잇는다. ‘물질주의’ 전시는 정식 개관 전 몇 달간 공개될 예정이며, 2026년 정식 개관 시 쑤저우의 새로운 문화 중심지로 자리하게 될 것이다.










건축가 비아이지(BIG)
위치 중국, 장쑤성, 쑤저우
용도 문화시설
프로젝트면적 60,000㎡
대표건축가 Bjarke Ingels, Catherine Huang
프로젝트건축가 Tyrone Cobcroft, Kekoa Charlot, Tseng-Hsuan Wei, Matteo Pavanello
디자인팀 Aileen Koh, Amanda Lima Soares Da Cuncha, Arda Özker Cincin, Athena Morella, Chih-Han Chen, Christian Vang Madsen, Cris Guoyu Liu, Desislava Georgieva, Eddie Can, Eric Wen Tung Li, Federico Martínez De Sola Monereo, Filip Fot, Filippo Cartapani, Finn Nørkjær, Haochen Yu, Huiyao Fu, Izabella Banas, Jakub Kulisa, Jan Magasanik, Jana Semaan, Jason Cheuk Hei Lee, Jiaqi Yang, Jiawen Huang, Julia Wilkosz, Jurica Pajic, Mathis Paul Gebauer, Megan Nhat Xuan Dang, Narisara Ladawal Schröder, Ole Elkjær-Larsen, Oliver Steen, Paula Domka, Pei Huang, Philip Kaefer, Phoebe Cowen, Riad Tabbara, Romain Thijsen, Shu Du, Sol Anaid Chaocon Levin, Tarek Shater, Todor Todorov Rusev, Tomasz Jakubowski, Xavier Thanki, Yanis Amasri Sierra, Yihan Liu, Yingying Guan, Zahra Khademi, Zhonghan Huang, Zuzana Faskova
발주자 Suzhou Harmony Development Group Co. Ltd
사진작가 Ye Jianyuan
'Architecture Project > Cultu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삽입된 구조, 확장된 기억, 징더전 도자 스튜디오의 플러그인 재생 / 피플스 아키텍처 오피스, 류커청 디자인 스튜디오 (0) | 2025.11.11 |
|---|---|
| 도시의 잔여지 위에 그린 단면, 벽과 원판모양 플라자가 만드는 새로운 지형 / 헤르조그 앤 드 뫼롱 (0) | 2025.11.11 |
| 그단스크의 기억 위에 다시 지은 무대, 비브제제 극장 본관 리노베이션 / 더블유에이피에이 (0) | 2025.10.22 |
| 바닷바람과 함께 숨 쉬는 마을의 전시관, 우양문화역사전시관 / 더블유에이유 디자인 (0) | 2025.10.17 |
| 빛과 직조가 만든 농촌 최초의 현대미술관 / 팀_빌딩 (0) | 2025.10.13 |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