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원구성지구 도시재생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의 거점시설로 조성되는 혜휼당은 구칠원도서관을 증축하여 주민자치시설과 커뮤니티센터의 역할을 하게된다. 혜휼당 부지는 주차장과 혜휼원(정자)를 중심으로 인근에 오일장이 열리는 칠원시장과 칠원초등학교가 있어서 정기적인 이용주민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를 활용하여 칠원시장과 칠원초등학교와 연계된 공간과 프로그램을 공간의 내외부에 제공하여야 한다. 주차장 부지와 혜휼당을 연계하여  광장으로 확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계획이 가능하다. 마을의 축제(칠원고을줄다리기) 등 행사시 활용하여 주민들 전체가 모이는 공간이 된다. 혜휼당은 주민자치 거점시설과 커뮤니티센터의 두가지 역할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함과 더불어 운영의 변화에 대해 대응이 가능한 유연성 또한 획득하여야 한다.

구칠원우체국은 1994년 우체국 표준설계도서(1993-37)로 설계/준공되어 이후 1998년, 2001년, 2002년 3차례의 증축을 통해 우체국 본래의 모습을 잃어갔다. 하지만 1980-1990년대까지 유행한 타일 건축물의 외관은 비교적 잘 유지되어 있다. 입구를 강조한 매스 형태, 곡면으로 된 중공벽과 수평창으로 이루어진  입면이라는 특징을 보여준다. 아마 준공 당시에는 우체국이 가지는 미디어로서의 사회적 역할과 함께 가장 세련된 건축물 이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칠원읍 주민들의 이야기가 모이는 중심지 였던 기억과 당시의 건축 특성이 반영된 표준도서로 설계된 건축물인 것을 고려하여, 혜휼당으로의 변화와 증축은 기존 공간이 가지는 기억의 보존과 확장에서 시작 되어야 한다.

혜휼당의 시설은 연구개발영역(혜휼카페, 농산물판매장, 스마트팜, 공유부엌), 커뮤니티영역(다목적 세미나실, 작은도서관), 사무영역(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마을관리사회적 협동조합 사무실)으로 구분이 되어있으며 각 영역 내에서 연계와 개방성을 확보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실제 공간을 사용자를 중심으로 구분을 하면 주민 이용공간과 (혜휼카페, 농산물판매장, 공유부엌, 다목적세미나실, 작은도서관), 사무/연구영역(스마트팜/경북대 연구팀,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마을관리사회적 협동조합 사무실)으로 재분류 되어야 한다. 주민 이용공간을 접근이 용이한 1층으로 배치하여야  마을의 큰 행사시 공간의 확장성과 공유부엌과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러 차례 증축된 공간들을 철거하여 구칠원우체국의 원형이 가진 기본 모듈의 사이즈와  공간의 방향성을 확인한다. 수직방향의 5m 모듈을 증축되는 공간의 기본 모듈로 설정하여 일관성을 유지한다. 중앙의 출입구에서 시작되어 수평의 방향성을 가지는 3m 모듈은 그 방향성을 유지하여 수평/수직 증축되는 부분과 기존 건축물을 통합하는  중심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구칠원우체국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을 유지하며 확장하여 형식적 연속성을 지속시키며 기존건축물과 증축되는 공간이 자연스럽게 통합되는 구조계획을 제안한다.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
입면 다이어그램
단면 다이어그램
지상 1층 평면도
지상 2층 평면도

 


바운더리스 건축사사무소
4등작_ 바운더리스 건축사사무소 
(https://boundaries.co.kr/)
대표건축가 김윤수

대지면적 1,189.00㎡
연면적 823.85㎡
건축면적 563.70㎡
건폐율 47.05%
용적률 68.77%
층수 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목구조
대표건축가 김윤수
디자인팀 안보영, 김규영
조경면적 139.28㎡
주차대수 5대
발주처 함안군청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 MasilWIDE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