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imnon Studio

 

하노이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고도(古都)의 36개 거리들을 걷는 일이 여전히 시적일 수 있지만, 이 도시가 점점 더 혼잡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MK House는 그처럼 빽빽이 들어찬 도시 안, 폭 4m x 깊이 11m의 작은 대지 위에 설계된 3인 가족의 주거 공간이다. 이 집의 목표는 단순했다. ‘살고, 일하고, 놀기에 충분한 집’,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경계 없는 삶을 위한 공간이었다.

 

ⓒ Chimnon Studio

 

하노이처럼 대도시에서는 주거 공간의 단절이 보편화되고 있다. 밀도가 높아질수록, 집은 입면에서 실내, 방 안까지 더욱 폐쇄적으로 변해 외부와의 단절을 강화한다. 특히 하노이의 전형적인 주택들이 지나치게 닫혀 있다는 점에서, 건축주는 이 집이 고립되지 않고 거리와 부드럽게 연결되기를 바랐다. 이에 따라 설계는 열린 평면, 최소한의 칸막이, 햇빛과 바람 같은 자연 요소의 적극적 도입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집은 하나의 유기적 공간으로 구성되었고, 가족 구성원 간의 연결은 자연스럽게 유지되었다.

 

ⓒ Chimnon Studio
ⓒ Chimnon Studio
ⓒ Chimnon Studio
ⓒ Chimnon Studio
ⓒ Chimnon Studio

 

1층은 건축주의 작업 공간으로 계획되었으며, 전체 면적을 거의 그대로 활용해 개방성을 극대화했다. 가족이 생활하는 거실, 주방, 식탁, 침실 등은 위층에 배치되었다. 폭이 4m밖에 되지 않는 협소한 대지에서, 환기와 동선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투명 바닥의 복도와 철제 계단을 조합한 구조를 도입했다. 이 구조는 동선의 통로이자 빛과 바람이 흐르는 통기 구조이며, 상하층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수직적 공간이다. 이러한 구성은 공간의 명확성을 높이고, 일상의 상호작용도 촉진했다.

 

ⓒ Chimnon Studio
ⓒ Chimnon Studio

건물 전면은 건축법상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할 수 없는 후퇴 공간이지만, 오히려 가벼운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되었다. 디자이너는 비어 있는 강철 바닥 구조와 얇은 강철 스트립으로 짜인 입면을 설치하여, 전통 대나무 발 ‘리엡쩨(liếp tre)’의 형상을 구현했다. 이 구조는 발코니, 계절 완충 공간, 수직 정원, 혹은 거리와 건물을 매개하는 강철 커튼 역할을 하며, 동시에 베트남 전통 건축이 자연과 유연하고 사려 깊게 관계 맺는 방식을 조용히 상징한다. MK House는 기능적 요구를 넘어서, 건축주의 삶 속에 축적된 문화적 층위 또한 반영한다. 오랜 시간 영적·미적 가치로 형성된 삶의 방식은 이 집의 ‘정서’가 되며, 그들의 기억과 정체성을 담은 공간으로 존재한다. 

 

1층 평면도
2층 평면도
3층 평면도
4층 평면도

 

5층 평면도
지붕 평면도
입면도

 

 

건축가 (아틀리에 12) Atelier 12
위치 베트남, 하노이, 롱비엔
용도 단독주택
연면적 215㎡ 
규모 지상 5층
준공 2022
대표건축가 Dang Duc Viet
사진작가 Chimnon Studio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