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Plant-based Ton That Dam Cafe Restaurant
이 프로젝트는 자연 위에 구조물을 더하는 대신, 존재하던 것을 지우고 비우는 방식으로 건축을 완성했다. 기존의 정원을 최소한의 개입으로 보존하면서, 오래된 주택과 새롭게 들어선 카페가 정원을 매개로 연결되고 공존할 수 있도록 공간을 조직했다.
대지는 본래 오래된 주택에 딸린 작은 정원이었다. 이 정원은 현재 식물성 식음료를 제공하는 카페의 일부로 전환되었다. 설계는 이 정원의 본래 가치를 해치지 않으면서, 집과 카페 모두가 이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했다. 결과적으로 건축은 ‘덧붙이는’ 대신 ‘덜어내는’ 전략을 택했고, 이를 통해 정원은 양쪽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 통로이자 매개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다.
공간을 명확히 구획하지 않고, 부드러운 암시적 경계만으로 영역을 나누었다. 이를 통해 각 공간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면서도 시각적·감각적으로 유기적으로 이어지며, 정원과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 건축은 배경으로 물러서고, 정원이라는 기존 자산이 두 프로그램을 부드럽게 감싸는 구조가 되었다.
디자인은 초기 볼륨 스터디를 거쳐 여러 차례의 반복과 제거 과정을 통해 완성되었다. 공간에 더할 것이 아니라 덜어낼 것이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질문하며, 필요 없는 요소를 하나씩 제거하는 방식으로 순수한 형태를 찾아갔다. 설계자들은 “이곳은 더 많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오히려 덜어냄을 원했다”고 말한다.
구조 시스템은 명확하고 간결하다. 기둥, 지붕, 배수구는 모두 각자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정제되었으며, 재료 역시 가볍고 주변 환경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었다. 지붕은 부드럽게 물결치는 형태로 설계되어 구름처럼 가볍게 햇빛을 거르고, 얇은 강판을 절곡해 만든 맞춤형 파티션은 노출된 구조 안에 따뜻함을 부여한다. 외부 입면에는 스틸 메시를 짜듯 적용하여 구조의 시각적 부피감을 줄이고, 식생과의 경계를 흐리게 만든다.
결국 이 건축은 공간을 주장하지 않고, 존재하던 것을 강화하고, 자연과 더 부드럽게 이어주는 중재자가 되었다. 정원은 여전히 정원으로 남아 있지만, 이제는 더 이상 오래된 집의 부속 공간이 아니라, 집과 카페를 잇는 공공의 풍경, 현재와 미래 사이의 열린 통로가 되었다.
디자이너 슈엉셉(xưởng xép)
위치 베트남, 호찌민, 응우옌타이빈, 톤탓담
용도 카페
연면적 160㎡
규모 지상 1층
준공 2024
대표디자이너 Nguyen Hoang Manh
디자인팀 Lam Bao, Nguyen Anh Dung, khongphainhan, Trong Nhan, Devon, Kim Nhat Thanh, Nai, Chau Thao Vy
시공 Local craftsman
사진작가 xuong xep
'Interior Project > Cafe&Restaur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계 안에서 누리는 무한한 자유, 아웃포스트 / 스페이스 디자인 어라이브 (0) | 2025.09.11 |
---|---|
색과 공간의 경계를 넘어서, 헤이즈 커피 숍 / 브랜드 (0) | 2025.08.20 |
벽돌의 따뜻함을 담은 레스토랑 / 네오제네시스+스투디오0261 (0) | 2025.08.06 |
가상과 현실의 장면을 담는 카페 / 언씬버드 (0) | 2025.08.01 |
두 개의 캔버스 천장이 만드는 중첩된 도시의 카페 / 아틀리에 타오 + 씨 (0) | 2025.07.21 |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