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랜드 캐널 게이트웨이 브리지가 준공되었다. 올해 안으로 시민에게 개방될 이 보행교는, 현재 조성 중인 80만㎡ 규모의 ‘심리스 시티(Seamless City)’ 마스터플랜의 동·서안을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가 된다. 14.7헥타르 규모의 리버 미들 공원과 수변 산책로의 중심에 놓이는 이 다리는, 항저우가 오랫동안 잃어버렸던 역사적 수로(그랜드 캐널과 첸탕강)를 다시 시민의 일상으로 회복시키는 도시 프로젝트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건축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그랜드 캐널의 역사성과 첸탕강이 만들어내는 독특한 자연 현상, ‘실버 드래곤(거대한 해일 현상)’의 장관을 안전하게 경험할 수 있는 장소성을 동시에 고려했다. 보행교와 주변 광장은 이 자연의 힘을 조망할 수 있는 다양한 시점을 제공하며, 생태적 민감성과 공공적 역할 사이에서 균형을 도모했다.
항저우는 전통 자수와 실크 공예로 유명한 도시다. 건축가는 이 지역의 문화적 맥락을 ‘직조’의 개념으로 해석하며, 교량의 구조를 실처럼 엮이고 겹치는 선형 시스템으로 구현했다. 세 개의 강철 아치가 얽힌 형태는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부드러운 흐름을 만들며, 도시의 동·서측을 시각·동선 모두에서 자연스럽게 결합한다.
프로젝트는 또한 고도로 최적화된 디지털 3D 모델링을 통해 사용 재료를 최소화하고, 프리패브 모듈 공법으로 현장 조립을 효율화했다. 연간 10만 척의 바지선이 오가는 운하의 특성을 고려해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항행에 방해가 없도록 계획했다. 현지에서 조달한 재료, 저영향 마감재, 재생 에너지로 충전되는 LED 조명 시스템을 사용해 지역 산업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강화했다.
총 390m 길이의 이 다리는 강철 타이드 아치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지반이 약한 운하·하천 합류부의 조건에 맞춰 정교하게 엔지니어링되었다. 구조적 비틀림과 하중을 균형 있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설계돼 기초의 부담을 줄이고, 역사적 환경에 영향을 최소화한다. 다리의 하중은 운하의 두 물길 사이에 놓인 섬의 콘크리트 교각 위로 모아져 시각적·구조적 안정감을 동시에 확보한다.
그랜드 캐널 게이트웨이 브리지는 항저우의 문화적 상징성과 첨단 공학, 재활용 가능한 재료를 결합한 프로젝트다. 조형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구조물로서, 도시의 미래 수변을 새롭게 정의하는 관문이자 공공의 전망대가 될 것이다.

























건축가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 (Zaha Hadid Architects)
위치 중국, 항저우
프로젝트면적 7,800㎡
준공 2025
대표건축가 Patrik Schumacher
프로젝트건축가 Maria Loreto Flores
디자인팀 Berkin Islam, Christy Yin, Delfina Bocca, Enoch Kolo, Federico Borello, Hunter Paine, Irena Predalic, Kalliopi Mouzaki, Lorena Espaillat Bencosme, Luciano Letteriello, Marcella Fedele, Maria Tsironi, Mariagrazia Lanza, Mariana Custodio Dos Santos, Marie-Perrine Placais, Mattia Santi, Michael On, Milind Khade, Miron Mutyaba, Mohamed Al-Jubori, Nastasja Mitrovic, Natasha Marks, Philipp Siedler, Pierandrea Angius, Qiuru Pu, Raquel Arauco Ordas, Saman Dadgostar, Satoshi Ohashi, Shahd Abdelmoneim, Shajay Bhooshan, Sven Torres, Thomas Bagnoli, Tommaso Casucci, Vincent Konate, Vincenzo Barilari, Vishu Bhooshan, Xiaoyu Zhang, Yuan Zhai, Yuzhi Xu, Andy Lin, Damir Alispahic, Effie Nakajima, Gaganjit Singh, Gigi Ho, Hangyul Jeong, Iris Chen, Joanna Saade, Jose Castaneda, Kalliopi Mouzaki, Ke Yang, Maria Echeverri, Milica Pihler-Mirjanic, Millie Anderson, Miron Mutyaba, Natasha Tariq, Qiuru Pu, Stefano Iacopini, Xuan Zhao, Yuan Zhai
구조엔지니어 Schematic Design: Arup. Preliminary Design – Construction
조경 Tongji University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stitute (Group) Co., Ltd
조명 Tongji University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stitute (Group) Co., Ltd
발주자 Hangzhou CBD Development Group, ltd.
사진작가 Xue Liang
'Architecture Project > Infra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쑤저우 버스 터미널, 정원 문화와 도시 이동의 새로운 경계 / 니켄세케이 (0) | 2025.11.11 |
|---|---|
| 방치된 농구장에서 탄생한 원형 다목적 홀 / 아마사 에스투디오, 안드레아 로페스, 아구스틴 페레이라 (0) | 2025.09.30 |
| 토르기르의 지역 정체성을 연결하는 교량 / 프로스토르네 타크티케 (0) | 2025.08.08 |
| 가정2동 행정복지센터 / 건축사사무소 도시공작소 + (주)건축사사무소 아이피에이 (0) | 2025.06.13 |
| 지역 건물을 활용한 다문화 시니어 데이케어센터 / 스튜디오 10 (0) | 2025.05.14 |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